vMotion, DRS


vMotion


- VMware 환경에서 가상 머신을 한 호스트에서 다른 호스트로 실시간 이동시키는 기술이며, 가상 머신을 중단 시키지 않고 호스트간 이동이 가능함


- 주요 특징 및 동작방식
1) 실시간 이동
2) 자동 로드 밸런싱
3) 유지보수 용이성

구현되기 위한 조건
1) 호스트 호환성 : CPU 아키텍쳐와 버전이 호환되어야함
2) vMotion 네트워크 : vMotion 트래픽을 전송할 수 있는 별도의 vMotion 네트워크가 필요
3) 공유 스토리지 : 가상 머신 이동시, 가상 머신의 디스크 파일은 공유 스토리지에 위치해야 함


DRS ( Distributed Resource Scheduler )

 

- 분산 리소스 스케쥴러 

- 관리자 및 사용자의 개입 없이 가상머신들을 자동으로 vMotion 하는 기능

>> 왜? :

인프라 위에 구축된 가상머신들을 pool로 묶어서 리소스 현황에 따라,

물리적인 서버에 종속 되지 않고 호스트를 자동으로 넘나 들도록

- > 리소스가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( 리소스가 부족하면 여유가 있는 호스트로 이동 하는것 )

 

DRS 자동화 수준


Storagy vMotion

 

- 데이터 스토어 간의 VM 이동

 

- 사용하는 이유

1) 온라인으로(VM 동작 여부와는 관계없이) 가능함

2) 작은 스토리지에서 큰 스토리지로 옮길때 ( 그냥 window에서 c드라이브 마이그레이션 하는 느낌 )

3) 스토리지 부하 분산

 

** 실제 적용법

옮기고자 하는 VM > 우클릭 > 마이그레이션

vMotion은 마이그레이션 할 시 "계산 리소스만 변경"

Storagy vMotion은 "스토리지만 변경"

 

** Storagy vMotion도 동작상태에서 가능하지만, vMotion보다는 느리다.


Storagy vMotion DRS

 

** DRS vs Storage DRS

- DRS : ESXi 호스트상에 VM을 자동으로 이동하는 기능 

- Storage DRS : Datastore에 VM의 VMDK를 자동으로 이동하는 기능

 

** 실제 적용법

- vMotion

BasicCluster  >  구성 > 서비스 > vSphere DRS > 편집

 

- Storagy vMotion

Datacenter 우클릭 > 스토리지 > 새 데이터스토어 클러스터

 

'VM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Sphere를 활용한 서버통합  (0) 2024.01.23
VMware 고가용성 기능  (0) 2024.01.23
제 4장 VMware vSphere 테스트 환경 설치  (0) 2024.01.16
제 3장 VMware vSphere 가상화 기초 지식  (0) 2024.01.16
제 2장 VMware vSphere 개요  (0) 2024.01.16

+ Recent posts